Web Worker 는 불려진 해당 스크립트가 로드한 페이지와 동일한 도메인에 있어야한다.
브라우져의 동일 기원 정책에 따른 것이다.
그래서 티스토리의 메인 html 과 흔히 스킨을 넣어두는 '파일올리기' 저장되는 곳은 도메인이 달라서
워커가 불리지 않아 그동안
프랙탈 예제를 올리지 못했다.
만일 파일올리기를 이용하면 저 파일들은 어디에 올라가게 되는 것인가 했더니
저렇게 각 블로그마다 고유의 링크가 생기게 된다.
하지만 여전히 워커가 돌아갈수가 없는데 그 이유는
HTML / CSS 편집의 도메인과 저 도메인이 다르기 때문이다.
DOM Exception 18 번 에러가 나게 된다. 따라서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
도메인을 같게 만들어주면 된다.
즉 html 파일 까지도 '파일업로드' 로 넣어주는 것이다.
그리고 해당 html 을 원래 블로그의 메인 html에서
아이프레임으로 로드하는 꼼수를 쓰게 되면
동일 도메인 원칙에도 벗어나지 않으면서 워커를 사용할수 있게 된다.
실제로 16개의 워커를 사용하는 프랙탈 예제를 한번 해보았다.
http://assaart.tistory.com/14
여기서 해볼수 있다.
확대하고 싶은 부분을 확대해 보면 된다.
워커를 사용하여 돌아가게 된다.
'javascript' 카테고리의 다른 글
Simple Parser Generator 미완성 버젼 (0) | 2012.02.24 |
---|---|
HTML5 티스토리에서 웹 워커 적용시키기 (프랙탈 예제) (0) | 2012.01.08 |
만델브로트 집합, canvas 2d + web worker 16개 사용하기 (0) | 2012.01.08 |
ASSA3d Obj3d 응용 원숭이 3d 모델 suzanne (0) | 2012.01.07 |
ASSA3d Picking 테스트 (크롬, 파폭) (0) | 2012.01.04 |
ASSA3d cube 추가 (0) | 2012.01.03 |
댓글을 달아 주세요